본문 바로가기
You can do it!

2023년 6월 출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방법

by 행동하는두잇 2023. 5. 21.
반응형

2023년 6월 출시임박! 청년도약계좌

정부에서 청년층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인 '청년도약계좌'가 드디어

2023년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미리 가입조건과 신청방법확인하시고 늦지 않게 신청하세요.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

매월 일정 금액을 '5년'간 납입시 '정부지원금 + 은행 이자'를 더해 만기시 지급하는 상품

총 예산 3,678억원으로 편성되어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국정과제로 추진됨

 

2. 가입조건

 

1) 나이 :  만 19~34세 청년

 

2) 소득 조건(개인)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3) 소득 조건(가구당) :  180% 이하

 

 * 가입제한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금융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80% 기준표 ]

가구인원 소득기준(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명     3,741,000   132,975     85,637   134,375
2명     6,222,000   222,624   187,378   226,361
3명     7,983,000   284,769   264,991   291,898
4명     9,722,000   346,067   335,569   359,887
5명    11,396,000   434,962   436,179   476,875
6명    13,011,000   476,875   481,248   521,613
7명    14,594,000   521,613   527,523   563,270
8명    16,177,000   625,329   628,210   729,187

3. 신청방법

 

1) 신청기간 : 2023년 6월 중 접수 예정

 

2) 가입가능 금융기관 : 추후 공고 

 

3) 가입 방법 : 2023년 6월 중 가입신청 - 비대면 심사 실시 -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 시행

 

4. 자산 형성 방법

 

  매월 납입(5년) ▶ 정부 지원금 적립 + 비과세 혜택 ▶ 예금 금리 이자 ▶ 만기 시 수령

  즉, 본인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금융기관 이자 = 만기 수령

 

√ 체크 포인트!

* 납입 한도 : 매월 70만 원 한도내 자유롭게 

* 정부 기여금 : 납입 금액에 비례하여 지급
* 이자소득 : 비과세 혜택

 

5. 청년도약계좌 연계지원 방안

 

1) 청년 지원상품 연계 : 저소득층 청년 지원 확대를 위해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과 동시 가입 가능!

    * 동시가입 가능 상품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2)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 가입 허용

 

3) 계좌 유지 지원 : 청년이 긴급한 자금 수요가 생기더라도 만기까지 유지할 수 있는

    예적금담보부 대출(가산금리 수순 조정)등의 방안을 계획

 

4) 지속적인 자산형성 유도 : 상품 만기 이후에도 자산형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상품 만기 후 정책상품 이용시 우대금리 적용

     * 예/적금 납입내역 개인신용평가 가점 반영
     * 금융소득 및 컨설틸 서비스 제공

 

더 자세한 내용은  '금융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보도자료)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 모집 및 운영방향 중간발표.pdf
0.31MB

 

 

 

 

 

반응형

댓글